안전한 건축물 해체 위해, 고도화 해체기술·통합관리 시스템 개발된다
안전한 건축물 해체 위해, 고도화 해체기술·통합관리 시스템 개발된다
  • 전찬민 기자
  • 승인 2023.07.31 0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저널 전찬민 기자] 우리나라 전체 건축물 중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의 비율이 2022년 기준으로 40%에 육박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1기 신도시 중심으로 대규모 노후 단지 재건축 특별법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건축물 해체 수요는 꾸준하게 증가할 전망이다. 

해체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관리법에 따라 해체 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해체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해체계획서는 대상 건축물의 정보, 해체공법, 해체 순서, 공정과 안전 모니터링 계획, 지장물 처리 계획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축물이 압쇄 후 전도 방식에 의한 해체 공사가 이뤄지고 있고, 이 과정에서 안전사고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정된 해체 공사비로 인해 적정한 해체공사를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발파해체 공법의 경우에는 발파를 통해 고층 또는 대단위 건축물을 일시에 지상으로 붕괴해 잔재물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이고 해체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발파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 먼지 제어의 한계로 인하여 도심지 밀집 지역 해체 등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해체공사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대 재해율은 다른 산업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최근 광주학동 철거, 논현동 사무용 건축물 철거 등과 같은 사회적 충격이 큰 사고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사전 해체계획 수립이 미흡하고 해체 과정 중 감리 등이 적정하게 이뤄지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그간의 해체공사에서 비롯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토교통부 연구개발 사업으로 지난 4월 ‘건축물 안전해체 계획 및 시공 기술 개발’ 연구과제가 착수돼 해체설계 자동화, 계획서 작성 자동화, 적정한 해체 시공이 가능한 장비·공법의 개발, 통합적인 해체공사 디지털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또한, 해체공사 전 과정을 계획하고 안전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안전사고의 예방과 함께 해체공사의 고도화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과제에서 개발되는 세 가지 구성기술을 살펴보면, 첫 번째 구성기술은 디지털 해체설계 분야다. 현재 수작업과 경험 중심으로 이뤄지는 해체설계를 해체 대상 건축물에 가장 적합한 해체를 하기 위한 사전조사와 계획과 설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해 해당 건축물에 가장 적합한 해체 공법과 작업 순서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 번째 구성기술에서는 압쇄 전도 방식의 해체공법을 탈피하기 위해 모듈화 방식의 해체공사가 이뤄질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하고 이에 적용이 가능한 경량 장비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최근 증가하는 리모델링 건축물의 해체에 적합한 해체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자원의 순환성을 강화하기 위한 분별해체 공법과 관련된 기술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마지막 구성기술에서는 해체공사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해 계획 설계부터 인허가 단계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주관연구기관을 맡고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송태협 본부장(사진)은 “이번 과제에서 기술 개발을 통해 전문업종으로 분류돼 있는 건축물 해체공사의 전문성을 향상하고, 하나의 전문업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며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와 국가자격 제도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해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안전해체 기술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에 의한 해체 공사에서 해당 건축물에 가장 적합한 해체 계획을 수립하고 적정한 공법과 장비를 활용한 해체 시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해체 대상 물량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인프라 구축은 매우 시급한 사항이다.

이에 따라 이번 과제에서는 건축물 관리법에서 규정하는 해체계획서 작성 시스템을 자동화함으로써 계획서의 작성뿐만 아니라 해체공사 중 해당 건축물의 안전관리를 감리자 이외에 인허가 공무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등 더욱 엄격한 해체 관리를 통해 해체공사 사고의 비율을 낮추기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건설공사의 스마트화 정책에 맞게 해체공사도 디지털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아가 건축물 전 과정에 통합관리 시스템과 연계해 건축물 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건축물의 생애 전 과정 디지털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도록 할 예정이다.

송 본부장은 “무엇보다 건축물 해체공사에 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해체공사를 하나의 건설공사로 인식하고 적정한 비용과 함께 적정 공사기간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또한, 최근 현장에서는 해체시공업자, 감리자, 해체계획서 검토 전문가 간의 역할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해체공사에 적합한 설계와 작업 방법의 제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본의 경우 국가 자격으로 해체기사와 기술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전문가 육성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이러한 제도를 도입해 해체공사의 전문영역 확립을 위한 전문가 육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노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