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디지털 전환의 어려움… 해답은 현장에 있다
산업 디지털 전환의 어려움… 해답은 현장에 있다
  • 김하늬 기자
  • 승인 2022.12.20 0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저널 김하늬 기자] 이제 디지털 전환은 전체 산업과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필수 전략이 됐다. 기업들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신성장 동력 비즈니스 모델 창출과 더불어 탄소중립과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GDP 제조업 비율이 전체 산업의 27.5%에 육박하는 한국은 제조업 영향력이 매우 높은 편인만큼 기계·제조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과 이를 통한 신사업 창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정부도 이를 인식하고 몇 년 전부터 디지털 선도국가 도약에 집중해 디지털 대전환 국가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산업부의 ‘산업 디지털 전환(DX) 확산 전략‘에 따라 주력 업종별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가 결성돼 다양한 산업에서 관련 R&D 사업이 진행되기도 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서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시행에 발맞춰 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수행하며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에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 기업의 산업 디지털 전환은 시작 단계로 이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중견‧중소기업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자본과 인력이 풍부한 대기업과 달리 중견‧중소 기업은 한정된 자본력과 부족한 인력으로 디지털 전환을 선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산업지능화협회 김태환 상근부회장(사진)은 “산업 디지털 전환이 온전히 자리 잡기 위해서는 선제 조건이 필요하다”며 “대기업의 참여와 현장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산업 디지털 전환의 성공을 위해서는 주력산업의 강점에 ICT 기술을 접목해 산업 밸류체인 전반을 디지털화하고 연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는 주력산업의 정점에 있는 대기업의 참여와 도움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디지털 전환에 앞장서고 있는 대기업과 이와 상생하고 있는 중견‧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시작으로 산업을 점차 확장시켜나가야 한다는 것이 그의 의견이다.

김 부회장은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는 대‧중견‧중소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데이터 연계, 공정 연결, 디지털 트윈 등을 구축하고, 수요를 미리 반영해 소재‧부품‧반제품‧제품 등의 개발을 추진한다면 공급망을 효율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나아가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의 시작단계인 지능화를 위해서는 현장의 4M2E(Man, Machine, Material, Method, Environment, Energy)에 대한 투명한 데이터 수집이 선행돼야 하지만 현재 국내 산업 현장은 아직까지 이를 수용할 준비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현장의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센서, 카메라 등 디지털 디바이스의 설치가 필요함에도, 여러 가지 이슈로 인한 현장의 반대로 여의치가 않은 실정인 것이다.

김 부회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기업에서 변화의 흐름을 읽고 혁신을 추진하는 적극적인 오너십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는 “독일도 시행착오를 거친 후 정부차원에서 현장의 참여를 유도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도 노·사·정 협의체 같은 상시기구 운영을 통해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과 일자리 변화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등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4차 산업혁명이 촉발한 디지털 경제와 빅블러(Big Blur) 시대에 우리나라의 강점인 주력 제조산업에 IT/OT 기술을 잘 융합한다면, ‘K-산업’ 또는 ‘K-제조’라는 이름으로 세계에 우뚝 설 날이 곧 도래할 것”이라고 전했다.

무엇보다 김 부회장은 산업의 디지털 전환, 스마트 공장으로의 변화를 돕고 있는 솔루션 공급 기업 또한 마찬가지로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육성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국내 기술력은 그간의 노하우로 인해 높은 수준에 달하지만, 해외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 이를 표준화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공급기업의 기술력 확산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의견이다.

김 부회장은 “공급기업은 디지털 전환 관련 구축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유지관리까지도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보여진다”며 “공급기업이 구축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제조현장에 맞는 방향으로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에 대해서 관리감독이 필요하고,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 이는 정부와 더불어 여러 기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산업지능화협회는 현재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명시돼 있는 산업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로 지정돼 향후 권역별로 협업지원센터 설립의 확대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생태계 활성화를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기업현장에서 나오는 데이터들을 거래할 수 있는 유통 거래 플랫폼을 만들고 있으며, 산업부 내 다양한 플랫폼을 집대성해 카탈로그 형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김 부회장은 “디지털 전환, 지능화가 근간이 되는 업종별 연대를 구성할 계획이다. 다양한 사례들도 보여주고, 사례를 구축한 다른 업종과의 교류의 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자사데이터만이 아닌 타사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표준화 유통 거래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과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한 백과사전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