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탈 방재 매뉴얼로, 재난 대응 빠르게
토탈 방재 매뉴얼로, 재난 대응 빠르게
  • 전수진 기자
  • 승인 2020.01.28 09: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저널 전수진 기자] 재해를 고려하지 않은 도시개발 사업은 재해 취약도시를 낳기 마련이다. 마찬가지로 재해 예방 대책이 완벽하게 수립되지 않은 상태의 대응 지침은 실제 상황 발생 시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최근 정부와 많은 지자체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시방재·안전 관련 정책을 개발하고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토탈 방재 시스템’은 재난 관리부터 방지까지 전반적인 방안을 고려해 제시하는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하천·하수도 등 전통적인 방재시스템과 병행해 도시의 토지, 기반시설, 주택단지, 건축물, 시민 등이 모두 연계하고 재해위험을 분담하는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토탈 방재 시스템을 마련한 (주)어스는 환경·기후변화와 관련한 방재 산업 분야에서 도시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 개발과 설계 용역을 수행하고 있는 재난관리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국민안전처가 설립된 후 재난대응 매뉴얼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프로젝트에 연구책임자로 참여한 어스는 기관과 재난특성을 고려한 재난대응 매뉴얼 개발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도시재생사업, 스마트시티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방재 설계 및 R&D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 완료된 행정안전부의 R&D 과제를 통해 대규모 재난발생시 도시·지역차원의 신속하고 종합적인 복구를 위한 복구기법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기도 했다.

특히 어스는 지역활성도가 높고 재해피해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방재시설 단일대책에서 탈피해 여러 가지 수단(토지이용, 방재림 포함)을 조화롭게 중첩하는 다중방어체계 구축의 복구기법으로 주목받았다.

현재는 행정안전부와 함께 연안 하구의 복합재난 위험지역에서 지역의 재해특성과 예방기법의 효과성, 경관성, 환경성, 다목적성 등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재해예방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어스는 국토교통부와 평면적인 하천구역 설정으로 인한 치수시설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도시의 부족한 토지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또한 지하방수로 등 하천시설 설치로 인한 민간 사유시설의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해 ‘입체하천구역제도’ 도입에 대한 정책을 개발 중에 있다.

어스 심우배 대표이사(사진)는 “입체하천구역제도는 일본에서는 이미 도입된 제도지만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공공성을 중심으로 도입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 있으며, 하천법 등 법제도 개정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어스는 그동안 다수의 중앙부처(국토교통부 등), 공공기관(한국전력, LH, 한국서부발전, 전력거래소, 부산도시공사 등)의 재난대응 매뉴얼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행정안전부의 작성기준에 따른 매뉴얼 이외에 보기 쉽고 간편한 1-Page 매뉴얼(재난대응표준프레임)을 개발해 호응을 얻기도 했다.

정책과 제도 개선 관련 연구를 지속해온 어스는 향후 적극적으로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도 갖고 있다.

이에 최근 어스는 행정안전부의 국민수요 맞춤형 생활안전 연구개발사업인 ‘차량번호판 인식을 통한 화재 등 재난상황 경보 알림 시스템’ 과제를 수주해 차량번호판 자동인식 소지형 단말·정보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

불법주정차 단속 등에 활용되고 있는 차량번호판 자동인식 기술을 풍수해, 화재 등 재난현장에 적용해 차량소유주에게 재난상황정보를 문자 등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심 대표는 “어스는 앞으로도 정부 R&D에 적극 참여하고 ICT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재난·안전 기술을 개발·발굴하며 정책부터 기술 개발까지 토탈 방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리잡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험에서 많은 것을 배우지만 재난은 경험하지 않았으면 한다. 재난을 경험하게 되면 그 피해가 오래가기 때문”이라며 “재난·재해는 미리 준비하고 관심을 가져야만 방지할 수 있다. 정부 차원에서 예산을 확보하고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