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기술 어떻게 발전해야 할까
자동차 기술 어떻게 발전해야 할까
  • 김하늬 기자
  • 승인 2019.04.05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는 다양한 자동차 동력 공존…기술 개발 균형이 관건”

[공학저널 김하늬 기자] 수소‧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자동차가 이끄는 미래 자동차 시장은 어떤 모습일까. 내연기관자동차는 미래에도 존속할 수 있을까.

미래 자동차 기술의 핵심은 자동차를 움직이는 힘, 즉 동력에 관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 역시 미래 자동차 기술로 손꼽히는 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렇듯 새로운 동력원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내연기관차에 대한 지원과 존속에 대한 궁금증도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최근 한국자동차공학회는 현재의 자동차 산업이 풀어야할 숙제와 자동차 분야별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과 정책 로드맵을 제시하는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자동차공학회 민경덕 부회장은 “2030년 전 세계 차량 중 순수 내연기관이 65%, 하이브리드차가 28%, 순수전기차가 7%의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약 10년 후에도 하이브리드를 포함해 내연기관이 탑재된 차량의 비중이 90% 이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 것이다.

한국자동차공학회를 이끌어 가고 있는 이종화 회장(사진)은 본 <공학저널>과의 인터뷰를 통해 “각 자동차 동력원 분야의 연구 생태계의 고사를 방지하고, 연구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 투자 확대가 절실하다”며 “국가 전략을 멀티트랙으로 가야하며, 국가의 발전이나 정책이 연착륙을 하면서 골고루 지원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자동차 동력 기술은 혼란과 변혁의 시대를 맞이했다. 이 회장 역시 한 가지 기술에 집중하기보다 다양한 분야의 균형 잡힌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하이브리드·수소전기차 등의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는 경쟁이 아닌 공존해야할 대상이라는 것.

이 회장은 “미래 동력원은 내연기관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수소전기차 등이 공존하게 될 것이며, 단기·중장기 점유율을 고려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연구 생태계 고사 방지를 위해서는 균형 있는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2030년이 되면 엔진기술의 발달과 친환경차의 증가로 다양한 동력원이 함께 공존하지만, 동시에 향후 20~30년간은 내연기관(전동화포함)이 자동차의 주요 동력원으로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에너지 밀도와 전력공급 및 충전인프라,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는 수소연료의 생산, 공급과 충전인프라 및 높은 차량가격 등의 측면에서 많은 개선과 발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상품성, 코스트, 연료의 가격과 공급 인프라, 항속거리 등을 고려했을 때 내연기관을 기반으로 하는 동력원이 여전히 높은 경쟁력을 가진다는 것이다. 물론 이 때의 내연기관은 현재와 같은 가솔린, 디젤위주가 아니라 초고효율, 초저공해의 신개념 내연기관으로의 진화된 형태로 발전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와 연비·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하고 세계적으로 국가별/지역별 이해관계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위해서는 수소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전기 동력 자동차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연기관 기반 기술의 고도화와 하이브리드 등에 대한 기술경쟁력 강화에도 더욱 많은 투자가 절실하다는 것이 이 회장의 설명이다.

한편, 이 회장은 자동차 산업 정책의 편중과 인재양성 노력에 대한 지원 부족에 대한 아쉬움을 전했다. 그는 “자동차 R&D에 있어 지원 형태가 산업보다는 지역으로 편중되는 경우가 있다. 지역발전을 위한 것도 필요하지만 한 지역에 많은 기업과 연구 인력이 몰려있지는 않기 때문에 지역을 살리면서 기업이 함께 사는 융복합형 지원 형태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자동차 산업에서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인재 양성을 우선시해야 할 것”이라며 “지금은 문제가 없지만 10년 뒤에도 인재가 있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기 때문에 백년대계를 생각하고 당장의 성과보다 인력 양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