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에 취약한 쇠퇴지역… ‘도시회복력’ 강화된다
재난에 취약한 쇠퇴지역… ‘도시회복력’ 강화된다
  • 전찬민 기자
  • 승인 2021.10.21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저널 전찬민 기자]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으로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쇠퇴지역은 일반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사태, 화재, 붕괴 등의 재난에 취약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쇠퇴지역의 재난재해로부터 도시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프라 통합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쇠퇴지역은 재난·재해 발생 시, 인적·물적 피해가 신도시 등 신개발지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복구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대비와 회복력 강화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재난대응형 도시재생 사업’ 모델 발굴을 통한 도시회복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쇠퇴지역에서 재난재해 발생 시 피해 최소화와 복원성 향상을 위한 리질리언스(Resilience) 개념이 적용된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쇠퇴지역의 경우 대형 기반시설 확보가 어려운 소규모 재생사업구역을 대상으로 한 적정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저감과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개발을 통한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지역밀착형이며 국민체감형의 도시재생의 추진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쇠퇴지역의 도시회복력 향상을 통한 재생역량 강화를 위해 위험성 분석기술과 도시회복력 향상기술, 회복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를 통합시스템으로 구축하고자 지난 2019년 4월 쇠퇴지역재생역량강화연구단이 출범해 2022년 12월까지 관련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쇠퇴지역 재생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연구사업은 도시생애주기를 고려한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등 시급한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삶의 질을 제고하고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을 통한 포용적 도시재생을 도모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개발되는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재난 위험성 분석 기술로 도시재생지역의 재난재해 위험성 분석·예측·정보 플랫폼 등이 해당되며, 두 번째로는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로 도시 회복력 분석과 향상 기법(기술)과 도시회복력 향상 최적 솔루션 매칭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인프라 기술은 도시재생지역 종합진단시스템과 계획지원시스템 개발과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에서 실증을 통한 법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차량·포터블 시스템 최적화 범용 라이다, 인공지능 기반 위험요인 탐지기술, 커뮤니티 기반의 앱 ‘양방향 소통체계, 티키타카’, 도시쇠퇴지역 맞춤형 솔루션 매칭 시스템, 재난재해 종합진단시스템, 도시재생지역 계획지원시스템이 개발된다. 또한 재난지원부스, 침수차단시스템, 쾌적환경쉼터, 스마트화재감지 LED 조명등, 사회기반시설물 실시간 영상모니터링 시스템 등의 기술도 함께 개발되며, 이를 실증단지 대구, 목포, 서산에 적용하고 있다.

이렇듯 연구단은 쇠퇴지역의 재난재해 등 시급한 사회문제 해결과 도시회복력 강화를 위해 지역밀착형·주민체감형 도시재생 최적솔루션을 개발하고 재난에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이삼수 연구위원(사진)은 “물리적, 사회경제적 환경개선과 함께 쇠퇴지역 재생에 따른 위험예측과 예방기술 개발을 통해 재난재해 발생 시 피해 저감, 신속한 적응·복구를 통해 인명·재산피해 최소화와 지역경제·생활기반 유지가 가능하다”며 “회복력 향상 기법 적용 등 도시계획적 대책을 통해 2022년 재난재해 피해액의 최대 10% 저감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또한 도시재생 종합진단(재해취약성)·계획지원시스템(기초조사) 구축을 통해 활성화계획 수립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회복력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경우는 일반 도시재생사업 대비 10억 당 11명의 일자리 추가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재난대응과 도시회복력 향상을 고려한 도시재생사업으로 시행되면 관련기술 적용으로 인해 유발 일자리는 연 평균 255명~1060명 창출되고, 생산유발효과는 연평균 30억원~124억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쇠퇴지역 특성과 재난재해 유형에 따른 맞춤형 최적 솔루션 적용, 도시회복력 강화와 효율적인 가이드라인 제공하고, 도시회복력을 고려한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함으로서 인프라 개선사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 대한 구성비가 각각 2.5%씩 증가하는 등 관련 산업생태계도 발전할 수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단은 재난위험성이 높은 쇠퇴지역을 대상으로 ‘재난대응형 도시재생사업 모델’을 개발해 새로운 도시재생사업의 유형으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종합실증단지 3곳에 적용해 검증하고, 새로운 도시재생사업확산방안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에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지 거의 10년이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기존의 도시재생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밀착형, 주민체감형 사업으로의 확대발전할 수 있는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자 한다”며 “또한 연구 성과가 정부정책으로 반영될 수 있는 개발된 기술, 제도, 기법 그리고 시스템의 철저한 모니터링과 검증을 통해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정책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