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까지 클라우드 전문 기업·인력 양성한다
2024년까지 클라우드 전문 기업·인력 양성한다
  • 김하영 기자
  • 승인 2021.09.07 12: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저널 김하영 기자] 정부가 오는 2024년까지 공공기관에 클라우드를 적극 도입하고 관련 산업 진흥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클라우드 전문기업을 3000개로 늘리고, 관련 분야 인재 1만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6일 임혜숙 장관이 주재한 ‘제14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위에서는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 △방송통신기자재 등의 적합성평가제도 개선 종합계획을 심의안건으로 의결하고, △2022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실행계획 안건은 서면으로 대신했다.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2022~2024)’은 공공·산업 전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 SW산업의 클라우드 전환·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 데이터·인공지능을 뒷받침할 수 있는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글로벌화를 지원하고, 아시아 중심 거점화, 해외 주요국 정보화 프로젝트와 연계 등을 통해 글로벌 진출 클라우드 기업을 작년 기준 80개사에서 2024년 300개사로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행정·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행정), 전장관리시스템(국방), 인공지능(AI) 제조 플랫폼(제조), 디지털 농업 플랫폼(농업), 병원정보시스템(의료), 위기대응플랫폼(재난안전) 등 6대 공공분야의 주요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고도화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은 디지털 뉴딜 2.0의 핵심이자 제조·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을 주제로, 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산업 활성화와 新시장 창출, 제도개선과 표준화 등을 통해 전 세계적 흐름인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자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하는 전략이다.

과기부는 관련 세부 정책 목표로 3D 객체 데이터 5만건 구축·개방과 디지털 트윈 관련 기업 100개 전환, 선도국 대비 기술상대 수준 95% 달성을 제시했다.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제도 개선 종합계획’은 그간 엄격한 사전규제 기반 적합성평가 제도를 융·복합 및 다품종 소량생산 환경 확대 등 시장 변화와 기업의 책임에 기반한 사후관리 중심의 글로벌 제도 추세에 부응하도록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계획을 통해 과기부는 적합성평가를 사후관리 중심으로 혁신해 기업부담은 낮추고 소비자와 전파환경 안전은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임 장관은 “디지털 혁신을 뒷받침 하는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 및 디지털트윈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기업의 규제 부담도 완화하여 디지털 뉴딜 2.0의 성과를 확산해 나가겠다”며 “이번 전략위원회가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국민이 체감하는 디지털 정책을 추진하는 계기가 되도록 위원님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관계부처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