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확산 위한 인식전환·적극지원 확대 필요…
스마트팜 확산 위한 인식전환·적극지원 확대 필요…
  • 김하늬 기자
  • 승인 2021.06.21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학저널 김하늬 기자] 인력 중심의 과거 농업과 달리 현재는 4차 산업혁명 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농업 기술 혁신’이 화두다.

현재 농업의 중심에 있는 ‘스마트팜’은 농업, 임업, 축산업, 수산물 등의 생 산, 가공, 유통 단계에서 스마트 센서·정보통신 기술(ICT)를 접목해 생산 물의 생육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밀한 관리와 예측이 가능하고, 생산 물의 품질·수확량 향상에 목표를 둔 지능화된 농업시스템을 말한다.

최적화된 생육환경 유지를 통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높이는 혁신적인 농업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를 비롯해 각 지자체들은 스마트팜 확산 등 농업의 생육정보를 데이 터화하고 4차 산업혁명 기능을 접목한 농업의 생산성과 품질향상에 주안 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재배가 어려웠던 열대과일까지 국내 생산이 가능해졌다.

시장조사 기관 마켓앤드마켓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팜 선진국으로 알려진 네덜란드의 스마트팜 보급률은 99%, 캐나다는 35%에 달한다. 한국의 스마트팜 보급률은 1% 수준으로 이제 시작점에 있는 상황이다.

현재 네덜란드는 농식품 클러스터 구축으로 농업 첨단기술과 시설원예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정부·기업·대학 간 협력을 통해 농식품 클러스터를 구축, 대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글로벌 식품기업, 농약 기업 등이 밀집된 농식품 클러스터인 ‘푸드밸리(Food Valley)’를 조성한 것이다.

현재 푸드밸리 안에 200개 이상의 농식품 기업과 연구소가 있으며, 꾸준한 혁신과 협업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기후와 일조량 측면에서 불리한 농업환경을 유리온실로 극복해 시설원예의 규모화·집단화·첨단화를 실현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럽형 온실로 불리는 ‘벤로형(Venlo) 온실’은 추가 증축이 용이하고 최근 보급되고 있는 반밀폐온실은 채광을 증가시키고 환기를 최대한 억제하며 열교환된 공기를 덕트로 균일하게 공급해 온실을 양압조건으로 유지하는 기술은 생산량 증가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국내에 도입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네덜란드는 유리온실의 개발을 통해 시설 내부 설비분야, 통합관리 시스템, 관수, 비료 공급 설비 등 전 세계적으로 해당 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국내 스마트팜 또한 이러한 네덜란드의 기술이 직접 또는 변형돼 적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을 이용한 스마트팜 구축은 최소 수천만원에서 수십억원대의 투자가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스마트팜 보급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로 낮은 생산성과 높은 경영비, 시설의 표준화·규격화 미흡, 높은 유통비용, 불안정한 수출, 기술에 대한 거부감 등을 문제점으로 꼽고 있다.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박종석 교수(사진)는 “최근 농촌진흥청은 내재해형 온실모델을 개발해 보급하고 있으며 온실기초환경 설계기준을 재조정해 발표했다. 그러나,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고려하면서 이러한 기준이 적용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지역마다 작물마다 고유의 특이성을 반영하면서 설계기준이 갖는 의미가 희석되는 경우가 많다”라며 “농민들은 ICT와 관련해 사용하기 불편하고, 센서값의 의미와 활용에 대한 지식이 부재해 생산성이나 소득과 연계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아직도 다수존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ICT 기술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줄어가는 인구수, 인건비 부담, 기후변화를 비롯한 미래 환경의 변화 속에서 한국의 농업 경쟁력이 상실되고 생산과 관리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현재 해외 의존도가 높은 스마트팜 기술의 경우 최근 개발되고 있는 국내 스마트팜 기술로 대체할 수 있을 만큼 기술력이 결코 뒤지지 않는다”며 “아직까지 완벽하지 않은만큼 기술 축적과 단계별 성장을 시도하고 있지만 한국형 최첨단 농업시스템이 선진 기술을 넘을 날도 머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도 고령화와 인력부족, 수급불안, 생산성 저조의 문제를 안고 있는 국내 농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스마트팜 기술 육성, 보급·확산 사업을 수행 중이다.

스마트팜 보급 확대와 노후시설 현대화 등을 통해 안정적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시설설비와 자재의 국산화 지원 등 시설의 표준화와 국산화를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내수와 수출을 선도하는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박 교수는 “스마트팜 관련 사업을 통해 비용적인 부분과 함께 교육 분야 또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동영상 플랫폼 등을 통해 청년 또는 귀농교육의 질을 높이고, 지자체·기관 등에서 각각 시행되던 교육의 체계와 통일성도 수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스마트팜 확산과 함께 산업생태계의 선순환구조를 만들어 네덜란드의 사례처럼 농업의 라이프사이클에 포함되는 다양한 관계자들의 클러스터 구성도 좋은 사례”라며 “스마트팜 수출확대를 위해 국산제품을 사용한 전시장 형태의 스마트팜 모델을 조성하는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